본문 바로가기
유용한정보/생활꿀팁

현관문 도어락 건전지 누액 고장! 교체 해줘도 금방 방전 되는 증상 해결

by JJ.LOG 2024. 6. 26.
300x250

 

 

한동안 저를 스트레스 받게 만들었던 현관문 도어락 고장에 관한 포스팅을 한 번 올려보겠습니다. 

이 일로 인해 건전지 누액 이라는게 참 골치 아픈 거구나, 조심해야겠구나,를 뼈져리게 느껴보며!

현재 저와 같은 증상으로 고민이 있으신 다른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저희 집 현관문 도어락은 제조사 밀레 시스텍 제품 입니다.

MSIP-CRM-Mir_MI-6000 이라고 적혀있는데요.

보니까 모델명이 MI-6000YS 네요. 

 

 

 

사실 고장 해결이 도무지 되지 않아서 새 걸로 교체할까 싶어서 이 모델명을 검색해서 봤는데 네이버 최저가로 생각보다 좀 많이 비싼 감이 있길래 수리 기사님을 불러서 고장 수리를 하거나 새 제품으로 하나 달까 싶더라구요.

그러다가 진짜 마지막으로 해보자 싶어서 한 방법.

 

 

 

 

 

 

 

일단 제가 겪은 고장 증상은

현관문 도어락 속 건전지가 어느 순간부터

엄청나게 빨리 방전 되는 증상이었습니다.

 

 

 

첨에 건전지를 갈아줄때 8개 (건전지도 엄청 많이 들어가는 도어락임 ==;;) 중 하나에서 하얀 누액이 굳어져있는 겁니다.

이 녀석 때문이구나 싶어서 누액이 뭍어있는 부분을 닦아주고나서 새로운 것들로 8개 모두 다 갈아주었는데...

한 5일 후쯤 됐을까.

또 다시 삐리삐리~

곧 방전될거라는 교체 알림이 울리기 시작했습니다. 

 

 

 

산지 오래 돼서 그런건가 싶어서 마트에 가서 다시 새로운 건전지를 사와서 갈았는데.

또 다시 일주일도 안돼서 삐리삐리~

이러다가 어느 순간 집에 못들어가는 불상사가 생기겠다 싶어서 온갖 검색을 다 해봤는데 결론은.

 

 

 

건전지 누액으로 인해 도어락 메인보드가 손상되어 고장이 날 수 있다는 것. ㅠㅠ

 

 

그래서 답이 없겠구나, 교체해야겠구나, 라고 결심하고는 마지막이다 하고 현관문 도어락을 해부해보기로 합니다.

 

 

 

 

 

 

앞에 판만 뜯어냈는데도 이렇게나 누액이 하얗게 눈처럼 쌓여있더라구요.

 

 

 

 

 

 

메인보드 부분도 흰색으로 건전지 누액이 흘러 굳어버린 자리가 조금 보였습니다. 

 

 

 

 

 

 

기판은 물론 스프링 하나까지 굉장히 꼼꼼하게 닦아주었어요. 

저는 면봉과 물티슈, 마른 수건 등을 모두 다 이용해서 꼼꼼하게 청소를 해주었답니다. 

생각지도 못한 돈이 깨져야하는 순간이다보니 더욱더 열중해서 한시간 이상 도어락 청소를 해준듯 합니다.ㅎㅎ

 

 

 

 

 

 

건전지 누액으로 하얗게 된 모든 부분들을 꼼꼼하게 다 청소해주었구요.

다시 기판 조립을 했습니다.

그리고 오래 된 건전지가 아닌 새로 사온 것들로 모두 교체를 해서 다시 사용을 해봤는데~!

현재 3개월이나 지났는데 도어락 방전 증상 없이 아주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 돈 굳었다..ㅠㅠ

 

 

 

다행히 메인보드가 손상될 지경에 이르기 전에 제가 발견해서

더 큰 불상사를 막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다른 분들도 아마 이런 증상 겪으실 수도 있을 듯 한데요. 

사람 부르기 전에 일단 드라이버 들고 와서 위에 커버 한 번 벗겨서 메인보드부터 확인 해보세요.

 

 

 

그리고 이런 불상사를 미리 막기 위해 꼭 알아둬야 할 것.

현관문 도어락 건전지 교체 시, 유의할 점!!

1. 새 건전지라 할지라도 구입을 한 지, 오래되어 누액이나 곰팡이 등의 흔적이 없는지 꼭꼭 확인.

(저는 오픈마켓에서 20개들이를 구입해서 썼었는데 이것도 오랫동안 안쓰고 방치해두면 상태가 엘롱이 되는 듯 합니다. 

자주 쓸 일이 없는 집이라면 필요할 때마다 마트에서 필요한만큼만 사서 쓰는게 좋을 듯 해요.)

 

2. 한 곳에 들어가는 건전지는 다른 종류가 아닌 같은 종류를 꼭 써야합니다. 

가끔 집에 있는 벡셀표, 에너자이저표, 다이소표 건전지 하나씩 다 모아서 넣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게 건전지 누액을 발생 시킬 수 있는 크나큰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이건 진짜 몰랐다...하..)

300x250

댓글